목차
1.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2.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3. 촉진 / Palpation
4.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5. 스트레칭 / Stretching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딘PT입니다

조금이라도 발전 할 수 있는 하루를 보냄에 감사하며 공부를 해볼까요??
그럼 오늘은 'V자'모양의 두판상근/머리널판근과 '수직'에 가까운 형태인 경판상근/목널판근
Splenius Capitis, Splenius Cervicis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두판상근/머리널판근 Splenius Capitis
기시점
|
목덜미인대, C3-T4 가시돌기
|
정지점
|
관자뼈, 뒤통수뼈
|
작용
|
한쪽: 머리의 동측돌림 & 가쪽굽힘
양쪽: 머리의 폄
|
신경지배
|
목척수신경
|
Origin
|
SPs of C3-T4 & nuchal ligament
|
Insertion
|
mastoid process of temporal bone, occipital bone
|
Action
|
Uni: ipsilateral rotation & lateral flexion of head & neck
Bi: extension of head & neck
|
Innervation
|
cervical spinal nerve
|
경판상근/목널판근 Splenius Cervicis
기시점
|
T3-T6 가시돌기
|
정지점
|
C1-C3 가로돌기
|
작용
|
한쪽: 머리의 동측돌림 & 가쪽굽힘
양쪽: 머리의 폄
|
신경지배
|
목척수신경
|
Origin
|
SPs of T3-T6
|
Insertion
|
TPs of C1-C3
|
Action
|
Uni: ipsilateral rotation & lateral flexion of head & neck
Bi: extension of head & neck
|
Innervation
|
cervical spinal nerve
|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 두판상근/머리널판근은 T3까지만 부착 하는 경우도 있다.
· 경판상근/목널판근의 정지점은 C1 & C2 까지인 경우도 있다.
· 두판상근/머리널판근은 위에서 보면 'V자' 모양을 하고 있다.
· 두판상근/머리널판근은 사선으로 주행하는 반면에 경판상근/목널판근은 거의 수직으로 주행하며 더 깊이 위치한다.
· 장시간 컴퓨터, 책상에 앉아서 책을 읽거나 마우스를 사용하는 자세, 한쪽 어깨와 귀 사이에 핸드폰을 껴 전화 통화를 장시간 하는 자세, one-sided 스포츠, 채찍질 손상(whiplash)등으로 손상당하기 쉽다.
촉진 / Palpation

두판상근/머리널판근의 표면(superficial)위치 부위
<시작자세>
· 먼저 환자는 앉은자세(seated)를 취하고 목은 동측 회전(ipsilateral rotation)을 취한다.
· 치료사는 환자의 뒤에 선다.
· 치료사는 환자의 후경삼각(posterior triangle of neck)의 윗부분에 손을 위치한다 이는 뒤통수뼈(Occiput)아래 그리고 SCM의 뒷부분인데 이 부분의 두판상근/머리널판근은 다른근육에 의해 덮혀 있지않고 표면에 위치한다.
· 보조손은 환자 머리 뒤에 위치한다.
<촉진 단계>
· 환자는 동측회전(ipsilateral rotation) 상태에서 치료사는 환자의 목과 머리의 폄(extension)을 지시하고
저항을 주어 두판상근/머리널판근 Splenius Capitis 의 수축을 느낍니다.
· 수축을 느낀 후부터는 천천히 근섬유의 수직방향으로 튕기면서 상부승모근의 경계에 닿을 때 까지 내려옵니다.
· 이후부터 환자에게 목과 머리의 폄(extension)으로 수축하면서 치료사의 저항에 힘을 살짝 주고 다시 이완하고를 반복하도록 지시합니다. 그렇게하면서 상부승모근 안쪽 깊이 자리한 두판상근/머리널판근의 수축과 이완을 느끼며 촉진합니다.
· 두판상근/머리널판근의 기시점에서 정지점까지 위치를 파악했다면 환자는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하고 기본톤(baseline tone)을 평가하고 촉진합니다.
★★★
· 환자가 머리와 목의 동측회전(ipsilateral rotation)을 하는것은 상부승모근과 흉쇄유돌근(SCM)의 reciprocal inhibition에 의한 이완을 야기하고 두판상근/머리널판근이 더욱 수축하기 쉽도록 합니다.
· 근육 촉진시 환자가 너무 강한 강도의 목과 머리의 폄(extension)시 상부승모근이 억제를 넘어서 수축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는 너무 강하지않은 적당한 폄을 하도록 합니다.
· 두판상근/머리널판근의 가시돌기(Spinous Process)쪽 부착점을 촉진시에는 엎드린자세에서(prone) 환자의 상부승모근의 앞쪽 경계(anterior border)에서 가시돌기를 향해 천천히 안쪽으로 깊숙히 손가락 패드를 적당한 압박을 주면서 들어가게되면 촉진할 수 있습니다.(아래 그림처럼)

가시돌기 부착점 촉진
경판상근/목널판근 Splenius Cervicis
<시작 자세와 촉진 단계>
· 경판상근/목널판근은 다른 근육들에 덮혀있기에 더욱 촉진하기 어렵습니다.
· 환자는 앉은자세(seated)를 취합니다.
· 두판상근/머리널판근을 촉진하기 제일 좋은 위치는 어깨올림근(Levator Scapulae)과 두판상근/머리널판근(Splenius Capitis)의 사이이기때문에 그 부위에 손을 위치합니다.
· 두판상근/머리널판근과 경판상근/목널판근의 작용은 같지만 차이점은 경판상근/목널판근은 머리의 움직임은 없고 오직 목의 움직임만 있다는 겁니다. 왜냐하면 부착점이 머리에 있지않고 척추에만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 그렇기에 환자는 동측회전(ipsilateral rotation)을 하도록 지시하면서 근육의 수축을 느낍니다.
· 경판상근/목널판근 촉진시 키포인트는 어깨올림근과 두판상근/머리널판근의 사이를 촉진하는 것입니다!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두판상근/머리널판근 트리거포인트
<두판상근/머리널판근 트리거포인트>
1. 급성 혹은 만성상태에서의 근육의 과사용 (ex. 장시간 머리를 앞으로 뺀 자세로 책을 읽거나 컴퓨터를 하거나, 바이올린 연주를 하는 사람에게 많이 나타난다)
2. 갑작스런 스트레칭 혹은 신장 (ex. 차사고에 의한 채찍질손상 whiplash)
이러한 트리거포인트로 인해서
1. 굽힘과 반대쪽 돌림(contralateral rotation)으로 근육의 신장상태가 통증에 의해 제한되거나
2. 통증으로 인해 동측회전(ipsilateral rotation)제한
3. 척추관절 기능장애
4. 두통
등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경판상근/목널판근의 트리거포인트
<경판상근/목널판근 트리거포인트>
경판상근/목널판근의 트리거포인트 발생은 두판상근/머리널판근과 같은 방식으로 유발됩니다.
이러한 트리거포인트로 인해
1. 두통
2. 눈의 통증
3. 심지어 동측 눈의 시야가 희미하게 사물을 보기도합니다 (blurriness eye vision)
스트레칭 / Stretching

이러한 근육들의 스트레칭은 물론 위에서 배웠던 근육의 작용방향의 반대로 신장시켜야겠죠?!
그렇기에 근육의 굽힘(flexion), 반대쪽 굽힘(contralateral flexion) 그리고 반대쪽 회전(contralateral rotation)을 통하여 그림과 같이 반대 손으로 머리를 잡고 스트레칭을 하여줍니다.
이러한 스트레칭은 이전에 배웠던 흉쇄유돌근(SCM)의 스트레칭과 유사한데 차이점이라면 손으로 몸 뒷부분의 의자를 잡는다거나 하여 견갑골(Scapula)를 아래로 고정을 할 필요는 없다는 점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두판상근/머리널판근 (Splenius Capitis)과 경판상근/목널판근 (Splenius Cervicis)
언박싱을 해봤는데 어떠하셨나요!
오늘도 많은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오늘 하루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
저도 여러분도 많이 발전 할 수 있는 하루가 되었길 바라면서 끝내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사진과 내용 참고자료
: muscle and bone palpation
with trigger points, referral patterns and stretching
- Joseph. E. Muscolino
Muscle Manual
- Dr. Nikita A. Vizniak
'근육해부학 > 상지(Upper Extrem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부생리학: 극상근/가시위근 _ Supraspinatus (0) | 2023.01.17 |
---|---|
근육해부학: 능형근/큰마름근, 소능형근/작은마름근 _ Rhomboid Major and Minor (0) | 2023.01.16 |
근육해부학: 두반극근/머리반가시근, 경반극근/목반가시근 _ Semispinalis Capitis & Cervicis (2) | 2023.01.16 |
근육해부학: 사각근/목갈비근 (전, 중, 후, 소) _ Scalene muscles (Ant. Mid. Post. Min.) (0) | 2023.01.16 |
근육해부학: 두장근/머리긴근, 경장근/목긴근 _ Longus Capitis & Longus Colli(Cervicis) (0) | 2023.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