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해부학/상지(Upper Extremity)

해부생리학: 극상근/가시위근 _ Supraspinatus

by 딘PT 2023. 1. 17.

목차

1.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2.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3. 촉진 / Palpation

4.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5. 스트레칭 / Stretching


안녕하세요!

 

딘PT입니다~!

오늘은 회전근개(rotator cuff)중 하나인 매우 중요한 근육인

극상근/가시위근 Supraspinatus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깨에 많은 질환이 극상근/가시위근에서 유발되기도하며

매우 임상적으로 중요한 근육이죠!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극상근/가시위근 Supraspinatus

기시점
어깨뼈가시위오목
정지점
위팔뼈큰결절(윗면)
작용
위팔뼈 벌림
위팔뼈머리 고정(안정)
신경지배
어깨위신경 (C5,C6)
Origin
supraspinous fossa of scapula
Insertion
greater tubercle of humerus (superior)
Action
abduction of humerus
stabilize glenohumeral joint
Innervation
suprascapular nerve (C5,C6)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 극상근/가시위근의 힘줄(tendon)은 상완관절주머니(glenohumeral joint capsule)와 섞인다.

· 극상근/가시위근은 회전근개(rotator cuff)중 유일하게 어깨관절의 회전(rotation)에 관여하지 않는다.

· 어깨위신경(suprascapular nerve)의 압박은 근육을 약화시킬 수 있다.

· 어깨벌림의 30도에서 가장 활성화된다고 하지만, EMG 연구에 의하면 극상근/가시위근은 전체적인 어깨벌림의 어깨관절가동범위에서의 움직임에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고한다.

· 과도한 염좌(strain) & 외상은 힘줄염(tendonitis)를 야기할 수 있으며 석회성 힘줄염(calcific tendonitis)과 연관될 수 있다.

· 40대부터 극상근/가시위근 힘줄 파열은 더욱 흔해지며; 파열은 위팔뼈의 상방 이동(superior displacement)을 야기한다.

· 반복적인 머리위로 물건을 드는 동작, 강한 힘의 벌림(야구,골프 등)동작과 반복적인 벌림에 의한 염좌(strain), 어깨 불안정성과 탈골에 의한 손상, 어깨충돌증후군(impingement syndrome)


촉진 / Palpation

극상근/가시위근 촉진 시작자세 및 몸쪽 근육 촉진 및 저항

극상근/가시위근의 먼쪽 힘줄(distal tendon) 촉진

<시작 자세>

· 환자는 엎드린자세(prone)을 취한다..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자리하고 촉진하려는 손을 극상근/가시위근의 기시점인 어깨뼈가시위오목(supraspinous fossa)에 위치한다.

· 저항이 필요할 시 치료사는 환자의 팔(팔꿈치 바로 위)에 손을 댄다.

<촉진 단계>

· 치료사는 환자에게 벌림(abduction)을 지시한다. (10~20도 정도)

· 치료사는 환자의 팔 벌림시 극상근/가시위근의 수축을 느낀다.

· 극상근/가시위근의 수축을 더 이끌어내기 위해선 환자의 팔에 저항을 가할 수 있다.

· 삼각근의 깊은 아래에 위치한 극상근/가시위근의 먼쪽 힘줄을 촉진 하기 위해선 어깨뼈가시를 따라 견봉(acromion)의 바로 가쪽(lateral) 그리고 앞쪽(anterior)을 촉진하여 근섬유의 수직방향으로 튕겨 촉진한다.

· 극상근/가시위근을 촉진하였으면 환자는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하고 기본톤(baseline tone)의 근육을 촉진하고 평가하면 됩니다.

★★★

· 극상근/가시위근을 촉진하기 힘든 이유중 한가지는 상부승모근(upper trapezius)때문일겁니다.

상부승모근은 팔이 움직일때마다 날개뼈(scapulae)를 고정하려고 수축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부승모근의 수축을 최소화하여 극상근/가시위근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앉은자세에서(seated) 팔의 굽힘(flexion)과 벌림(abduction)의 중간에서 올리게하여 극상근/가시위근을 촉진하면 됩니다.

굽힘과 벌림의 중간이라하면 scaption 혹은 scapular plane에서의 굽힘 혹은 대략 시상면과 이마면의 중간정도에서의 팔 굽힘을 지시를 의미합니다.

· 극상근/가시위근의 먼쪽 힘줄(distal tendon)을 촉진하기위해선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어깨뼈가시를 따라가서 견봉(acromion)의 먼쪽(distal)부위의 앞쪽라인(anterior)을 촉지하는 방법.

2. 두갈래근고랑(bicipital groove)을 먼저 찾은 다음, 바로 후면(posterior)을 촉지하여 찾을 수 있습니다.

· 환자에게 손을 등허리에 위치(medial rotation of arm)하게 하면 좀 더 위팔뼈큰결절이 돌출하기때문에 촉지가 쉬워집니다.

앉은자세에서의 극상근/가시위근 촉진시 상부승모근의 수축을 최소화하는 자세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극상근/가시위근의 트리거포인트>

1. 만성 혹은 급성적 과사용 (ex. 머리위로 물건을 들어올리는 행위)

2. 외상 (ex. 어깨 탈구)

<트리거포인트에 의한 유발>

1. 염발음(joint crepitus)

2. 팔을 들어올릴때 통증 및 가동범위의 제한

3. 뻣뻣한 어깨

4. 수면시 통증때문에 잠을 잘 수가 없음

★★★

· 극상근/가시위근과 극하근/가시아래근은 어깨 바깥의 트리거포인트 영역를 공유하는데, 극하근/가시아래근이 좀 더 깊은 통증을 유발한다고 합니다.


스트레칭 / Stretching

<극상근/가시위근 스트레칭>

· 그림과 같이 어깨는 폄(extension)한 상태에서 모음(adduction)상태로 팔을 등뒤로 보낸 것과 같은 자세를 취하여 스트레칭을 합니다.


사진과 내용 참고자료

: muscle and bone palpation

with trigger points, referral patterns and stretching

Joseph. E. Muscoli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