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해부학/상지(Upper Extremity)

근육해부학: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 _ Biceps Brachii

by 딘PT 2023. 1. 17.

목차

1.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2.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3. 촉진 / Palpation

4.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5. 스트레칭 / Stretching


안녕하세요

딘PT입니다!

 

늘은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 Biceps Bracahii를 보려고합니다.

헬스장에서 많은 남성분들이 덤벨을 들고 이두근 운동하시는 모습 자주 보시죠?

바로 그 근육을 샅샅히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후후 기대해 주세요!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 Biceps Brachii

기시점
긴갈래: 어깨뼈관절위결절
짧은갈래: 어깨뼈부리돌기
정지점
노뼈거친면, 위팔두갈래널힘줄
작용
팔꿈치 굽힘, 아래팔 뒤침
위팔뼈굽힘
신경지배
근육피부신경 (C5,C6)
Origin
long head: supraglenoid tubercle & glenohumeral labrum
short head: coracoid process of scapula
Insertion
radial tuberosity & bicipital aponeurosis
Action
flexion & supination of elbow
flexion of shoulder
Innervation
flexion & supination of elbow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은 팔꿈치 굽힘시 작용하는 강한 뒤침근이다.

· 팔꿈치가 80-90도 굽힘되어있으며 뒤침시 가장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은 bicipital groove를 지나면서 반복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건염이 유발된다.

· 짧은 갈래는 오훼완근/부리위팔근(coracobrachialis)와 부리돌기(coracoid process)주위에서 융합할 수 있으며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의 Deep Tendon Reflex 테스트는 주로 C5 레벨을 검사한다.

· 반복적인 무거운 물건을 드는 활동으로 염좌(strain)이나 건염(tendonitis), 긴 갈래의 파열(rupture), 긴갈래의 bicipital groove에서의 이탈(subluxation) 등이 유발될 수 있다.


촉진 / palpation

<시작 자세>

· 환자는 앉은 자세를 취한다.

· 팔은 이완된 채로 전완은 뒤침한 자세에서 환자의 허벅지에 올려놓는다.

· 촉진하는 손은 전완의 앞면의 중간에 위치한다.

· 보조손은 환자의 손목의 몸쪽(proximal)에 위치한다.

<촉진 단계>

· 환자는 팔꿈치 굽힘(flexion)을 지시하고 mild에서 moderate한 강도로 저항을 주어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의 수축을 느낀다.

· 근섬유의 수직방향으로 촉진하는데, 정지점부터 기시점방향으로 천천히 촉진할 수 있는 최대로 촉진한다.

·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의 위치를 확인 했을 경우, 환자는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기본톤(baseline tone)을 촉진하고 평가한다.

★★★

· 촉진시 환자는 팔을 수직으로 위치시켜야한다. 그렇지않으면 팔으어깨관절에서의 굽힘근들은 수축하여 굽힘시킬 것이며 이러한 굽힘근들때문에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 구분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 촉진시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이 수축하였을때보다 이완하였을때가 더욱 촉진하기 쉽다.

또한 팔이 이완시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 사이의 틈(groove)을 촉진하여 구분할 수 있어야한다.

·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팔의 앞쪽을 대부분 덮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생각보다 그렇게 넓지 않다.

· 짧은갈래의 부착점인 어깨뼈부리돌기(coracoid process)는 겨드랑이 위쪽과 약간 몸쪽에서 쉽게 촉진할 수 있다.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 트리거포인트>

1. 급성 혹은 만성적인 근육의 과사용

2. 드라이버로 나사를 조이는 반복적인 뒤침

<트리거포인트의 유발>

1. 상완 앞면에 통증

2. 제한된 팔꿈치 폄


스트레칭 / Stretching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 스트레칭>

·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 스트레칭시 팔꿈치와 어깨는 완전히 폄(extensiion)하며 전완은 엎침(pronation)자세에서 뒤에 문틀을 잡고 멀리 떨어져 스트레칭한다.


사진과 내용 참고자료

: Muscle and Bone Palpation

with Trigger Points, Referral Patterns and Stretching

- Joseph. E. Muscolino

Muscle Manual

- Dr. Nikita A. Vizni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