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2.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3. 촉진 / Palpation
4.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5. 스트레칭 / Stretching
안녕하세요 딘PT입니다!

그동안 잘 지내셨나요???
오늘은 오훼완근/부리위팔근 Coracobrachialis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오훼완근/부리위팔근 Coracobrachialis
기시점
|
어깨뼈의 부리돌기
|
정지점
|
위팔뼈대 안쪽면의 가운데 1/3
|
작용
|
위팔뼈의 굽힘, 모음
|
신경지배
|
근육피부신경 (C5,C6,C7)
|
Origin
|
coracoid process of scapula
|
Insertion
|
medial shaft of humerus (middle 1/3)
|
Action
|
flexion & adduction of shoulder
|
Innervation
|
musculocutaneous nerve (C5,C6,C7)
|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 매우 드물게 이 근육은 두개의 muscle bellies를 가지는데, 부리돌기(coracoid process)의 먼쪽(distal)에서 형성하며 상완골(humerus)의 중간, 전면내측부위에 정지하고 & 다른 muscle belly는 위팔세갈래근 내측근육에 정지하거나 내측상과(medial epicondyle)에 정지한다.
- 오훼완근/부리위팔근은 매우 강한 수평면에서의 내전근(horizontal adductor)이지만, 상완의 전면에서 가장 작은 근육이다.
- 오훼완근/부리위팔근은 부리돌기(coracoid process)에 부착하는 3개의 근육 중 하나이다.(biceps short head, pectoralis minor, coracobrachialis)
- 근피신경(musculocutaneous nerve)는 오훼완근/부리위팔근의 바로 아래에 지나가 압박(entrapment)되기도 하여 팔꿈치 굽힘, 전완 외회(supination), 어깨의 굴곡(flexion)의 약화 & 감각이상(paresthesia)가 오기도 한다.
- 이러한 압박(entrapment)는 근비대(hypertrophy)의 이차적인 부작용이기도 하다(ex.보디빌더)
촉진 / palpation


<시작 자세>
- 환자는 90도로 팔을 벌림(abduction)을 유지하고 어깨관절의 외회전(lateral rotation)과 함께 팔꿈치 굽힘을 대략 90도로 유지한다.
- 치료사는 환자의 전면에 앉거나 서서 위치한다.
- 치료사는 촉진하려는 손을 환자의 상완 내측과 몸쪽(medial & proximal)으로 위치한다.
- 지지하려는 손은 환자의 팔꿈치관절에서는 몸쪽, 상완에서는 먼쪽에 위치시켜 준다.
<촉진 단계>
- 치료사는 지지하는 손으로 환자에게 수평면에서의 굴곡(horizontal flexion)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고 환자는 이를 버텨낸다. 치료사는 이때 수축하는 근육을 촉진한다.
- 치료사는 기시점에서부터 정지점으로 근육을 근섬유의 수직방향으로 튕기며 따라 촉진한다.
- 환자의 오훼완근/부리위팔근 촉진후 환자는 이완되는 처음 자세로 돌아온다.
★★★
- 오훼완근/부리위팔근을 상완이두근(biceps)의 짧은갈래(short head)와 구분하기 위해선 팔꿈치를 90도 혹은 그 이상 굴곡(flexion)시켜 짧은갈래를 충분히 이완시킨 다음에 진행해야 더욱 쉽게 구분할 수 있다.
- 그래도 오훼완근/부리위팔근과 상완이두근 짧은갈래와 헷갈린다면 촉진한 상태에서 팔꿈치를 구부렸다 폈다(flexion & extension)을 진행해보아 수축과 이완이 보인다면 상완이두근 짧은갈래 그렇지 않다면 오훼완근/부리위팔근이다.
- 오훼완근/부리위팔근의 촉진은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져야한다. 왜냐하면 상완동맥(brachial artery), 정중신경(median nerve), 척골신경(ulnar nerve), 근피신경(musculocutaneous nerve)가 주위에 지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오훼완근/부리위팔근 트리거포인트>
- 급성/만성적인 과사용
- 시너지 근육(synergetic muscle)의 트리거포인트
<트리거포인트의 유발>
- 심각한 통증
- 어깨 가동범위 감소(벌림과 폄)
- 근피신경(musculocutaneous nerve)의 압박(entrapment)
스트레칭 / Stretching

<오훼완근/부리위팔근 스트레칭>
- 오훼완근/부리위팔근 스트레칭시 환자는 팔꿈치의 폄(extension)과 모음(adduction)을 몸 뒤로 진행하여 반대쪽 팔로 부드럽게 당겨줍니다. 이때 통증이 아닌 어깨 근육부위에서의 신장을 느껴야합니다.
'근육해부학 > 상지(Upper Extrem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해부학: 상완요골근/위팔노근 _ Brachioradialis (0) | 2023.01.25 |
---|---|
근육해부학: 상완삼두근/위팔세갈래근 _ Triceps Brachii (2) | 2023.01.20 |
근육해부학: 상완근/위팔근 _ Brachialis (1) | 2023.01.17 |
근육해부학: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 _ Biceps Brachii (1) | 2023.01.17 |
근육해부학: 쇄골하근/빗장밑근 _ Subclavius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