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해부학/상지(Upper Extremity)

근육해부학: 상완요골근/위팔노근 _ Brachioradialis

by 딘PT 2023. 1. 25.

목차

1.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2.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3. 촉진 / Palpation

4.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5. 스트레칭 / Stretching


안녕하세요 딘PT입니다!

그동안 잘 지내셨나요???

오늘은 상완요골근/위팔노근이라고하는 팔꿈치의 굽힘과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팔꿈치 근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많은 분들이 hammer curl을 하시기도 하고요!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상완요골근/위팔노근 Brachioradialis

기시점
위팔뼈 가쪽관절융기위능선
정지점
노뼈붓돌기
작용
중립위치에서 아래팔과 팔꿈치관절 굽힘
신경지배
노신경 (C5,C6)
Origin
lateral supracondylar ridge of humerus
Insertion
styloid process of radius (lateral side)
Action
flexion of elbow (make neutral)
Innervation
radial nerve (C5,C6)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 근위부(proximal)근 섬유는 brachialis와 섞이기도 하며, 때로 매우 흔치않게 3번째 metacarbal bone으로 정지(insertion)하기도 한다.
  • 상완요골근/위팔노근은 팔꿈치 굽힘근중 유일하게 노신경(radial nerve)과 신경지배하는 근육이다; 그렇기에 상완요골근/위팔노근의 DTR 테스트는 C6의 척추 레벨 검사이다.
  • 팔꿈치 굽힘 100-110도 에서 가장 효율적인 팔꿈치 굽힘이 일어난다.
  • 상완요골근/위팔노근은 전완이 중립위치(neutral)에 있을때 가장 강한 팔꿈치 굽힘근으로 작용한다.
  • 요골맥파(radial pulse)는 상완요골근/위팔노근의 정지점과 요측수근굴근/노쪽손목굽힘근 원위부(distal)에서 느껴진.


촉진 / Palpation

<촉진 시작>

· 환자는 팔을 충분히 이완시키고 전완은 중립을 위치시키며 허벅지 위에 놓는다.

· 치료사는 환자를 바라보며 옆에 앉는다.

· 촉진하려는 손은 환자의 근위부(proximal), 전완의 앞쪽과 약간 외측에 손을 위치시킨다.

<촉진 단계>

· 적당한 저항을 환자의 전완에 아래방향으로 주고 환자는 그 힘에 대항하여 팔꿈치를 굽힘하는 힘을 가하며 근육의 수축을 느낀다.

· 부착지점에서 부착지점으로 천천히 근육의 수직방향으로 튕기며 촉진한다.

· 촉진을 마치고 환자는 편한 자세로 근육을 이완시킨다.

★★★

· 상완요골근/위팔노근은 기시점부터 정지점까지 가장 표면에 들어나있는 근육인데, abductor pollicis longus와 extensor pollicis brevis가 위치한 원위부 부위만 두 근육으로 덮혀있다.

· 팔꿈치 굽힘에 주근육 3개는 Biceps brachii, Brachialis, Brachioradialis이다.

· 3개의 근육의 다른점은 Biceps Brachii는 손이 외전(Supination)상태에서, Brachialis는 손이 내전(pronation)상태에서 Brachioradialis는 중립자세에서 근육의 효율성이 가장 높다.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상완요골근/위팔노근의 트리거포인트>

  • 급성 혹은 만성적 과사용(ex. 삽질, 팔꿈치를 굽히고 중립자세를 유지하여 그 위에 가방을 들고 다닌다.)

<트리거포인트에 의한 유발>

  • 상완요골근/위팔노근에서의 트리거포인트는 팔꿈치 굽힘시의 근력을 약화시킬 수 있고, 전완의 폄(extension)과의 couple motion으로의 내전(pronation)에 제한을 유발시킬 수 있다.


스트레칭 / Stretching

<상완요골근/위팔노근 스트레칭>

· 스트레칭시 환자는 팔을 최대한 폄(extension)시킨다음 반대손을 이용하여 최대한의 내전(pronation)을 통해 전완에서의 이완되며 신장됨을 느끼며 스트레칭한다.


사진과 내용 참고자료

: muscle and bone palpation

with trigger points, referral patterns and stretching

- Joseph. E. Muscolino

muscle manual

- Dr. Nikita A. Vizni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