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2.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3. 촉진 / Palpation
4.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5. 스트레칭 / Stretching
안녕하세요 딘 PT 입니다!

한 주간 너무 추워서 출퇴근 외에는 집 밖을 나설 수가 없었네요 ㅠㅠ
한동안 추위가 계속된다니깐 다들 조심하시구요!
빙판길 특히나 조심하셔야합니다.
오늘은 원회내근/원엎침근이라는 Pronator Teres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원회내근/원엎침근 Pronator Teres
기시점
|
위팔갈래: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
자뼈갈래: 자뼈갈고리돌기 |
정지점
|
노뼈 가쪽 몸통 중간 |
작용
|
아래팔 엎침 팔꿈치 굽힘 보조 |
신경지배
|
정중신경 (C6,C7) |
Origin
|
humeral head: medial epicondyle via common flexor tendon ulnar head: coronoid process of ulna |
Insertion
|
lateral radius middle of shaft |
Action
|
pronation of forearm flexion of elbow (weak) |
Innervation
|
median nerve (C6,C7) |
<촉진 시작자세>
- 환자는 팔을 충분히 이완시키고 전완은 중립을 위치시키며 허벅지 위에 놓는다.
- 치료사는 환자옆 환자를 바라보며 앉는다.
- 촉진 손은 환자의 근위부와 전면으로 위치한다.
- 보조하려는 손은 환자의 촉진하려는 팔의 먼쪽, 즉 손목의 몸쪽(proximal)에 위치한다.
<촉진단계>
- 환자에게 전완의 회내(pronation)를 지시하고 그것에 대항하여 중간 정도 강도의 힘을 가한다. 이때 원회내근/원엎침근의 수축을 radioulnar joint 위치에서 느낀다.
- 수축을 느낀 부위부터 정지점, 기시점까지 근섬유의 수직으로 근육을 튕겨보며 이동하여 촉진한다.
- 촉진을 마친 후 환자는 천천히 편안하게 근육을 이완시킨다.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스트레칭 / Stretching
사진과 내용 참고자료
: muscle and bone palpation
with trigger points, referral patterns and stretching
- Joseph. E. Muscolino
'근육해부학 > 상지(Upper Extrem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해부학: 요측수근굴근/노쪽손목굽힘근 _ Flexor Carpi Radialis (0) | 2023.02.01 |
---|---|
근육해부학: 장장근/긴손바닥근 _ Palmaris Longus (2) | 2023.01.27 |
근육해부학: 상완요골근/위팔노근 _ Brachioradialis (0) | 2023.01.25 |
근육해부학: 상완삼두근/위팔세갈래근 _ Triceps Brachii (2) | 2023.01.20 |
근육해부학: 오훼완근/부리위팔근 _ Coracobrachialis (2)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