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2.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3. 촉진 / Palpation
4.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5. 스트레칭 / Stretching
안녕하세요~
딘PT입니다!

오늘은 어깨의 움직임에 있어 많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는 근육을 가져왔습니다.
실은 움직임과 특히 안정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바로 전거근/앞톱니근으로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는 매우 중요한 근육이죠!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전거근/앞톱니근 Serratus Anterior
기시점
|
제 1-9 갈비뼈
|
정지점
|
어깨뼈의 척주 경계 앞면
|
작용
|
어깨뼈의 앞으로 내밈, 위쪽돌림
|
신경지배
|
긴가슴신경 (C5,C6,C7)
|
Origin
|
ribs 1-9
|
Insertion
|
costal surface of medial border of scapula
|
Action
|
protraction & upward rotation of scapula
|
Innervation
|
long thoracic nerve (C5,C6,C7)
|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Clinical Note>
· 전거근/앞톱니근은 어깨뼈의 내밈(protraction)과 위쪽돌림(upward rotation)의 주동근이다.
· 위쪽섬유는 어깨뼈의 아래쪽돌림(downward rotation)을 야기할 수 있기도하다.
· 아래쪽섬유는 가장 강한 힘을 발생시키며 강하다.
· 전거근/앞톱니근은 호흡의 보조근으로 고려된다.
· 전거근/앞톱니근과 등세모근은 팔 벌림(abduction)시 어깨뼈의 위쪽돌림을 유발하는데 위가시근(supraspinatus)와 어깨세모근(deltoid)가 위팔뼈를 2도 벌림시 어깨뼈는 1도 위쪽돌림하여 2:1의 비율을 보인다.
· 전거근/앞톱니근을 담당하는 긴가슴신경의 손상이나 근육의 약화가 발생시 익상견갑골(winging of the scapula)가 발생 될 수 있다.
· 전거근/앞톱니근은 어깨뼈를 흉벽(chest wall)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하고 어깨의 움직임에 있어 안정자 역할을 하는데, 마비(paralysis)나 약화(weakness)시 어깨의 전체적인 움직임에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촉진 / Palpation


<시작 자세>
· 환자는 바로누운자세(supine)을 취하고 팔을 천장을 향해 바닥과 수직으로 든다.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앉는다.
· 촉진하려는 손의 손가락 패드를 흉곽 벽의 바깥쪽, 겨드랑이의 바로 아래 부분에 위치한다.
· 보조 손은 환자의 주먹에 가져다댄다; 만약 저항이 필요할 시 저항을 줄 수 있다.
<촉진 단계>
· 환자에게 손을 천장에 닿도록 쭉 뻗어보도록 요구하며 (이 자세를 통해 어깨뼈의 내밈을 취하게 할 수 있다)
전거근/앞톱니근의 근수축을 느낄 수 있다.
· 만약 필요시, 보조손으로 환자의 주먹을 중력방향으로 저항을 가할 수 있다.
· 최대한 전거근/앞톱니근의 촉진을 마치고 환자의 편한 자세에서의 기본톤(baseline tone)을 촉진하고 평가한다.

★★★
· 흉곽 벽쪽에 위치한 위쪽섬유를 촉진할 시, 천천히 흉곽벽을 따라 대흉근(pectoralis major)의 안쪽으로 깊숙히 손가락을 위치한다.
특히 갈비뼈 제1,2에 위치한 윗섬유를 촉진하는 것은 어려 울 수 있다.

· 위쪽섬유의 더 많은 근수축 유발을 하기 위해선 환자의 팔 각도를 더 높이면 된다.(대략적으로 135도 굽힘)
이 자세를 취하게 함으로써 어깨뼈 내밈과 올림이 더욱 유발된다.

· 아래쪽섬유의 근수축을 더욱 유발하기 위해선 환자의 팔 각도를 낮추어준다.(대략적으로 45도의 굽힘).
이 자세를 취하게 함으로써 어깨뼈의 내밈과 내림이 유발된다.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트리거포인트 원인>
· 급성 혹은 만성적 과사용
· 과도한 호흡
<트리거포인트에 의한 유발>
· 어깨뼈 당김(retraction)의 억제
· 환측으로 옆으로 누워 잘 시 압박에 의한 불편함 야기
· 단축으로 인한 호흡의 불편함 야기
스트레칭 / Stretching

<전거근/앞톱니근 스트레칭>
· 그림과 같이 팔을 편채로(extension) 의자의 약간 뒷부분을 잡은 상태에서 몸통을 반대쪽으로 돌림(contralateral rotation)하게되면 어깨뼈의 당김(retraction)을 야기하면서 스트레칭을 하게 된다.
사진과 내용 참고자료
: muscle and bone palpation
with trigger points, referral patterns and stretching
- Joseph. E. Muscolino
muscle manual
- Dr. Nikita A. Vizniak
'근육해부학 > 상지(Upper Extrem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해부학: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 _ Biceps Brachii (1) | 2023.01.17 |
---|---|
근육해부학: 쇄골하근/빗장밑근 _ Subclavius (0) | 2023.01.17 |
근육해부학: 소흉근/작은가슴근 _ Pectoralis Minor (0) | 2023.01.17 |
근육해부학: 대흉근/큰가슴근 _ Pectoralis Major (0) | 2023.01.17 |
근육해부학: 후삼각근/뒤어깨세모근 _ Posterior Deltoid (3)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