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2.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3. 촉진 / Palpation
4.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5. 스트레칭 / Stretching
안녕하세요!
딘PT가 다시 돌아왔습니다~

한 주 잘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은 이전에 대흉근/큰가슴근 Pectoralis Major에 이어
소흉근/작은가슴근 Pectoralis Minor를 가지고 왔습니다.
좋은 공부되시길 바랍니다!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소흉근/작은가슴근 Pectoralis Minor
기시점
|
갈비연골 제 3-5
|
정지점
|
어깨뼈부리돌기
|
작용
|
어깨뼈의 내밈, 내림 그리고 아래돌림
|
신경지배
|
안쪽가슴신경(C8,T1)
|
Origin
|
rib 3-5
|
Insertion
|
coracoid process
|
Action
|
protraction, depression, downward rotation of scapula
|
Innervation
|
medial pectoral nerve(C8,T1)
|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 근경련(myospasm) 혹은 구축(contracture)은 상완신경총과 쇄골하동맥과 정맥(brachial plexus & subclavian artery&vein)의 압박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Thoracic Outlet Syndrome)을 야기할 수 있다.
· 구축 혹은 tightness는 둥근 어깨(rounded shoulder)의 원인에 기여 한다.
· 소흉근/작은가슴근은 호흡의 부가근육(accessory muscle)로 구별된다.
촉진 / Palpation


<시작 자세>
· 환자는 바로누운자세(supine)를 취하고 손을 등허리에 위치한다.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앉는다.
· 촉진하려는 손을 환자의 어깨뼈부리돌기(coracoid process)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다.
<촉진 단계>
· 환자에게 손과 전완으로 베드를 아래를 향하여 누르도록 지시하고, 대흉근/큰가슴근을 통하여 소흉근/작은가슴근의 수축을 느낀다.
· 계속해서 갈비뼈 부착부위까지 근섬유의 수직방향으로 촉진한다.
· 소흉근/작은가슴근 촉진을 완료시 환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하고 기본톤(baseline tone)을 평가하고 촉진한다.
★★★
· 환자가 베드를 손과 전완으로 아래를 향하여 누르는 이유는 팔의 폄(extension)을 유발시키며 이는 짝운동(coupled motion)인 어깨뼈의 아래쪽 돌림(downward rotation)을 유발시켜 소흉근/작은가슴근의 근수축을 유발시킬 수 있다.
소흉근/작은가슴근 수축을 유발할 때는 앉은자세가 제일 쉽다.
· 소흉근/작은가슴근의 세 섬유는 충분히 개별적으로 촉진하고 구분할 수 있다.
· 가장 바깥쪽의 근섬유를 촉진하는 대안으로는 대흉근/큰가슴근의 옆쪽에서부터 깊게 들어가 접근하는 방법인데 이는 환자에게 있어서 매우 불편하고 통증을 유발하므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소흉근/작은가슴근은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촉진할 수 있느 근육이다.

<앉은 자세>
· 앉은자세에서의 촉진은 소흉근/작은가슴근을 촉진하기에 매우 용이하고 쉽다.
왜냐면 환자는 바로누운자세(supine)에서 보다 손을 등허리에 위치시키기 쉽기때문이다.
환자는 등허리에 손을 위치시키고 뒤쪽으로 손을 밀게하여 팔을 폄(extension)시켜 짝운동(coupled motion)을 통해 어깨뼈를 아래쪽돌림(downward rotation)시켜 소흉근/작은가슴근의 수축을 유발시켜 촉진을 하면 된다.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소흉근/작은가슴근 트리거포인트 원인>
1. 급성 혹은 만성적 과사용
2. 근육이 짧아진 자세를 장시간 지속 (ex. 만성적 둥근어깨 자세, 팔이 접혀 몸통을 가로지른 상태로 바로누운자세로 수면
3. 지팡이 혹은 목발 사용
4.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5. 과도한 호흡
6. 무거운 가방때문에 근육의 압박
7. 대흉근/큰가슴근 혹은 목갈비근의 트리거포인트
<트리거포인트에 의한 유발>
1. 소흉근증후근(pectoralis minor syndrome) - 신경학적 혹은 혈관성 증상이 상지에서 유발될 수 있다.
2. 둥근어깨 자세(rounded shoulder posture)
3. 어깨의 당김(retraction)의 제한
4. 익상견갑(winging of scapula)
스트레칭 / Stretching

<소흉근/작은가슴근 스트레칭>
· 소흉근/작은가슴근 스트레칭은 대흉근/큰가슴근 스트레칭과 매우 유사합니다.
팔을 벌림(abduction)시킨 자세로 대략 135도로 벌린 후 문에 기대어 늘려줍니다.
요즘 공부, 일, 장시간 컴퓨터때문에 많은분들이 둥근어깨 혹은 익상견갑으로
고통받으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
이번 기회에 공부하셔서 고칠 수 있길 바랍니다!
날씨 더워지기 시작했는데 몸 건강 조심하시구
다음에 또 좋은 근육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사진과 내용 참고자료
: Muscle and Bone Palpation
with Trigger Points, Referral Patterns and Stretching
- Joseph. E. Muscolino
Muscle Manual
- Dr. Nikita A. Vizniak
'근육해부학 > 상지(Upper Extrem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해부학: 쇄골하근/빗장밑근 _ Subclavius (0) | 2023.01.17 |
---|---|
근육해부학: 전거근/앞톱니근 _ Serratus Anterior (0) | 2023.01.17 |
근육해부학: 대흉근/큰가슴근 _ Pectoralis Major (0) | 2023.01.17 |
근육해부학: 후삼각근/뒤어깨세모근 _ Posterior Deltoid (3) (0) | 2023.01.17 |
근육해부학: 중삼각근/중간어깨세모근 _ Middle Deltoid (2)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