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해부학/상지(Upper Extremity)

근육해부학: 후삼각근/뒤어깨세모근 _ Posterior Deltoid (3)

by 딘PT 2023. 1. 17.

목차

1.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2.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3. 촉진 / Palpation

4.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5. 스트레칭 / Stretching


안녕하세요

딘PT입니다~!

드디어 삼각근/어깨세모근의 마지막 박스인 후삼각근/뒤어깨세모근을 가지고 왔습니다!

거두절미하고 빠르게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까지 열공하시길 바랍니당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nervation

후삼각근/뒤어깨세모근 Posterior Deltoid

기시점
어깨뼈가시
정지점
위팔뼈세모근거친면
작용
위팔뼈 폄, 수평벌림, 바깥쪽돌림
위팔뼈 벌림
신경지배
겨드랑이신경 (C5,C6)
Origin
spine of scapula
Insertion
deltoid tuberosity of humerus
Action
extension, horizontal abduction, lateral rotation of humerus
abduction of humerus
Innervation
axillary nerve (C5,C6)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 후삼각근/뒤어깨세모근은 어깨의 강한 폄근으로 작용한다.

· 중삼각근/중간어깨세모근 벌림(abduction)시 전삼각근/앞어깨세모근과 후삼각근/뒤어깨세모근은 협력근으로 작용하여 안정자 역할을 한다.

· 삼각근/어깨세모근은 벌림시 30~120도 사이에서 가장 강한 힘을 작용한다.

· 삼각근/어깨세모근과 극상근/가시위근은 어깨의 벌림의 전체 관절가동범위의 작용에 관여한다.

· 어깨뼈의 목의 골절과 어깨 탈골시 겨드랑신경(axillary nerve)의 손상을 유발하고 삼각근/어깨세모근의 약화를 유발한다.

· 머리위로 물건을 올리는 동작을 많이 반복하거나, 과한 힘의 어깨 벌림, 혹은 외상등으로 인해 근육의 좌상을 유발한다.


촉진 / Palpation

<시작 자세>

· 환자는 엎드린 자세(prone)에서 팔은 90도로 벌림(abduction)하여 팔을 베드 위에 올려놓고 전완은 베드에서 내려놓는다.

· 치료사는 환자 옆에서 서거나 혹은 앉는다.

· 촉진하려는 손은 어깨뼈가시의 아래와 가쪽(inferior to the lateral end of the spine of the scapula)끝에 위치하고 보조손은 환자의 팔꿈치의 위쪽 팔에 위치한다.

<촉진 단계>

· 환자는 팔의 수평 폄(horizontal extension)을 지시한다(팔을 천장 방향으로 올림).

환자의 근수축을 느끼며 촉진하고 저항이 필요할시 보조손을 이용하여 팔에 저항을 가한다.

· 어깨뼈가시에서부터 정지점인 위팔뼈세모근거친면(deltoid tuberosity)까지 촉진한다.

· 촉진을 했다면 환자는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기본톤(baseline tone)을 평가하고 촉진한다.

★★★

· 후삼각근/뒤어깨세모근은 어깨의 가쪽 돌림(lateral rotation)도 작용하지만 촉진시 환자에게 이 작용을 지시하면 안된다. 왜냐하면 극하근/가시아래근(infraspinatus)와 소원근/작은원근(teres minor) 또한 가쪽 돌림을 하기때문에 구분하기가 더욱 어려워 지기 때문이다.

· 후삼각근/뒤어깨세모근은 어깨뼈가시의 거의 뿌리(root)까지 위치하는데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안쪽에 위치한다.

<앉은자세에서의 촉진>

· 후삼각근/뒤어깨세모근은 앉은자세에서도 쉽게 촉진할 수 있는데, 환자는 90도 벌림자세에서 수평 폄(horizontal extension)을 하고 치료사는 반대방향으로 저항을 가하여 근수축을 유발 할 수 있다.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후삼각근/뒤어깨세모근 트리거포인트>

1. 급성 혹은 만성적 과사용 (ex. 팔을 벌림 혹은 폄 자세로 장시간 위치)

2. 직접적 외상 (ex. 스포츠에서의 부상)

3. 극하근/가시아래근의 트리거포인트

에 의해 생성된다.

<트리거포인트에 의한 유발>

1. 팔의 벌림 혹은 폄의 약화가 유발 될 수 있다.


스트레칭 / Stretching

<후삼각근/뒤어깨세모근의 스트레칭>

· 스트레칭하려는 팔은 반대쪽 어깨에 위치한 다음 팔꿈치를 잡고 당겨 수평 굽힘 혹은 모음(horizontal flexion or abduction)시키며 몸통은 앞쪽을 향하며 고정시켜 스트레칭 시킨다.


이렇게하여 총 3개의 박스를 모두 언박싱했네요.

생각보다 오래걸렸습니다 ㅠㅠ

꼼꼼하게 가져왔는데 만족하셨을지 모르곘네요 ㅎㅎㅎㅎ

바쁜 와중에도 꾸준히 공부하시는 여러분들 그리고 저를 포함해서 모두 응원합니다 하핳ㅎㅎ

좋은 하루 되시길 기원하며 마치도록 할께요~

좋은주말 보내세요!

사진과 내용 참고자료

: muscle and bone palpation

with trigger points, referral patterns and stretching

- Joseph. E. Muscolino

muscle manual

- Dr. Nikita A. Vizni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