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해부학/상지(Upper Extremity)

근육해부학: 대흉근/큰가슴근 _ Pectoralis Major

by 딘PT 2023. 1. 17.

목차

1.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2.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3. 촉진 / Palpation

4.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5. 스트레칭 / Stretching


안녕하세요~

딘PT입니다!

오늘은 대흉근/큰가슴근에 대해 공부하려고 합니다.

운동하는 많은 남성분들이 발달시키려는 부위중 하나이기도 하며

신체에서 팔의 굽힘, 수평모음, 안쪽돌림에서의 큰 힘을 발휘하는 근육이지만

과도한 발달로 인해 팔의 안쪽돌림(internal rotation)으로 인해 다양한 병변, 특히 둥근어깨(round shoulder)를 야기하는 근육중 하나입니다.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대흉근/큰가슴근 Pectoralis Major

기시점
빗장머리: 빗장뼈의 안쪽 중간
복장머리: 복장뼈, 위쪽 6개의 갈비연골
갈비머리: 갈비뼈 1-6
정지점
위팔뼈결정(사이)고랑의 가쪽능선
작용
위팔뼈의 모음, 수평모음, 안쪽돌림
빗장부: 위팔뼈 굽힘
복장부: 위팔뼈 굽힘상태에서 펴기
신경지배
빗장부: 가쪽가슴신경(C5,C6,C7)
복장부: 안쪽가슴신경(C8,T1)
Origin
clavicular head: medial 1/2 of clavicle
sternal head: sternum
costal head: cartilages of 1-6 ribs
Insertion
lateral lip of bicipital groove of humerus
Action
adduction, horizontal adduction and medial rotation of humerus
clavicular part: flexion of humerus
sternal part: extension of humerus from a flexed position
Innervation
clavicular head: lateral pectoral nerve (C5, C6, C7)
sternal head: medial pectoral nerve (C8,T1)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 폴란드 증후근(Poland Syndrome) : 드물게 선천적으로 한쪽 대흉근/큰가슴근이 없이 태어나는것을 말한다.

· 대흉근/큰가슴근은 일반적으로 빗장부, 복장부, 갈비 이렇게 세 섬유로 나눈다.

· 대흉근/큰가슴근은 갈비뼈 제 1-6과 갈비연골에 부착하기 때문에 중요한 호흡근으로 분류한다.

· 60도 이상의 각도부터는 대흉근/큰가슴근은 굽힘(flexion)에 관여하지 않는다.

· 대흉근/큰가슴근의 과도한 발달 혹은 구축(contracture)는 둥근 어깨(rounded shoulder)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촉진 / Palpation

<시작 자세>

· 환자는 바로누운자세(supine)을 취한다.

· 치료사는 환자의 옆쪽에서 자세를 취한다.

· 촉진을 하려는 손은 환자의 겨드랑주름(axillary fold)의 앞쪽과 아래쪽에 손을 가져다 댄다.

· 보조 손은 환자의 팔(팔꿈치 위쪽)에 손을 가져다 대고 저항이 필요할 시 가한다.

<촉진 단계>

· 복장갈비부분(sternocostal head)먼저 촉진을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환자에게 팔에 저항을 가하면서 팔을 모음(adduction)하도록 지시합니다.

혹은 환자가 스스로 몸통을 밀어내면서 팔의 모음(adduction)을 시행하도록 하고 근수축을 느낍니다.

· 빗장부분(clavicular head)에서의 촉진시 손을 쇄골(clavicle)의 안쪽(medial)의 아래부분(inferior)에 위치하고 환자에게 굽힘(flexion)과 모음(adduction)의 사선의 방향으로 들게하고 저항을 가하여 근수축을 느낍니다.

· 근수축을 느낀후 섬유의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촉진하며 끝부분(distal)으로 천천히 나아갑니다.

· 근육을 촉진을 완료한 후에는 환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하고 기본톤(baseline tone)을 촉진하고 평가합니다.

★★★

· 환자에게 팔을 벌림(abduction)하게하고 겨드랑주름을 앞쪽으로 움켜줍니다; 그리고 환자가 다시 팔을 편하게 내려놓게 되면 치료사의 손에는 대흉근/큰가슴근이 전체적으로 위치하게 됩니다.

· 환자가 수평 굽힘(horizonal flexion)을 저항에 대항하여 할 시에, 쇄골부(clavicular head)와 복장갈비부분(sternocostal head)사이에는 눈으로 볼 수 있는 홈(groove)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는 전삼각근/앞어깨세모근과 쇄골부(clavicular head)사이에서도 홈(groove)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대흉근/큰가슴근을 전체적으로 수축을 일으키기 위해선, 환자에게 수평적 굽힘(horizonal flexion)을 지시하고 저항을 가합니다.(이는 전삼각근/앞어깨세모근 또한 작용하도록 합니다.)

보통 앉은자세에서 더욱 쉽게 작용합니다.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대흉근/큰가슴근 트리거포인트>

1. 급성 혹은 만성적 과사용 (ex. 몸통 앞쪽으로 반복적인 물건들기, 팔의 반복적인 모음)

2. 근육이 짧아진 자세를 장시간 유지 (ex. 만성적 둥근 어깨 자세)

3. sling 혹은 cast 사용

4. 견갑대(shoulder girdle)이 내밈(protraction)된 상태에서 환측으로 돌아서 누워 자는 자세.

5. 지팡이나 목발등을 사용

6. 과도하게 타이트한 여성 속옷(브레지어)으로 인해 근육을 장시간 압박.

7.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트리거포인트에 의한 유발>

1. 둥근 어깨 자세(rounded shoulder posture)

2. 제한된 벌림(abduction)과 수평적 폄(horizontal extension) 또는 어깨뼈 당김(retraction)

3. 통증으로 인한 수면시 불편함

4. 가슴부위에 통증 혹은 부종

5. 오른쪽 대흉근/큰가슴근에서 제5와 제6 갈비뼈사이에서의 트리거포인트(TrP)는 부정맥(cardiac arrhythmia)에 기여하기도 한다.


스트레칭 / Stretching

· A : 복장갈비부분(sternocostal head)에서의 스트레칭을 보여줍니다.

팔은 대략적으로 90도로 벌림(abduction)하고 문에 기대어 늘려줍니다.

· B : 쇄골부(clavicular head)에서의 스트레칭을 보여줍니다.

팔은 대략 45도로 벌림한 상태에서 문에 기대어 늘려줍니다.


이렇게 대흉근/큰가슴근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상체의 전면부에서 크기가 큰 근육이며 강한 힘을 발휘하다보니

자세나 트리거포인트로 인한 다양한 질환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저도 둥근어깨가 있어서 운동과 스트레칭을 병행하는데 여기 나와있는 스트레칭을

매일 주기적으로 진행하다보니 예전보다는 많이 좋아진 것 같아요 ㅠㅠ

오늘도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진과 내용 참고자료

: Muscle and Bone Palpation

with Trigger Points, Referral Patterns and Stretching

_ Joseph. E. Muscolino

Muscle Manual

- Dr. Nikita A. Vizni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