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해부학/상지(Upper Extremity)

근육해부학: 대원근/큰원근 _ Teres Major

by 딘PT 2023. 1. 17.

목차

1.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2.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3. 촉진 / Palpation

4.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5. 스트레칭 / Stretching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딘PT입니다~

 

이렇게 다시 찾아뵙게 되어 너무 기쁘네요 ㅎㅎㅎ

한 주가 벌써 흘러가고 주말입니다.

그럼 오늘은 대원근/큰원근 Teres Majo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지배

/ Origin, Insertion, Action, Innervation

대원근/큰원근 Teres Major

기시점
어깨뼈아래각
어깨뼈 겨드랑이모서리의 아래쪽 1/3
정지점
위팔뼈의 양결절고랑 안쪽선
작용
위팔뼈 폄 (굽힘자세에서)
위팔뼈 안쪽돌림, 모음
날개뼈 위쪽돌림
신경지배
아래쪽어깨밑신경 (C5,C6,C7)
Origin
inferior lateral border of scapula
Insertion
medial lip of bicipital groove of humerus
Action
medial rotation & adduction of shoulder
Extension of shoulder when flexed position
upward rotation of scapula
Innervation
lower subscapular nerve (C5,C6,C7)

임상적 특징 / Clinical Note

· 때때로 근섬유가 광배근(Latissimus Dorsi)과 섞이거나, 매우 드물게 대원근/큰원근이 없는 경우도 있다.

· 대원근/큰원근과 광배근의 작용은 매우 비슷하여 '작은 광배근'이라고도 불린다.

· EMG연구의 보고된 바에 의하면 대원근/큰원근은 등뒤에서의 모음(adduction)시 가장 활성화된다고 한다.

· 등뒤로 손 위치하기, 노젓기, 던지기, 크로스컨트리 스키 등에 많이 쓰인다.

· 반복적이거나 강한 힘의 어깨 내회전(internal rotation)시 염좌(strain)를 입거나 혹은 어깨 불안정성과 탈골에 의해 손상된다.


촉진 / Palpation

 

<촉진 시작>

· 환자는 엎드린자세(prone)을 취하게하고 촉진하려는 위치의 팔은 베드 바깥으로 빼 아래로 늘여뜨린다.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앉아 양 무릎사이에 환자의 팔을 위치시킨다.

· 치료사의 촉진하려는 손은 환자의 어깨뼈겨드랑이 모서리(lateral border of scapula)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촉진 단계>

· 환자에게 어깨 안쪽돌림(medial rotation)을 지시하여 치료사의 무릎으로 환자의 방향에 저항을 주면서 대원근/큰원근의 수축을 느낍니다.

· 대원근/큰원근의 위치를 파악했으면 천천히 근섬유의 수직방향으로 근육을 튕기면서 촉진하면서 정지점방향으로 나아갑니다.

· 대원근/큰원근 촉진을 완료시 환자에게 편안하고 이완된 자세를 하도록하고 환자의 큰원근/대원근의 기본톤(baseline tone)을 평가하고 촉진합니다.

★★★

· 소원근/작은원근과 대원근/큰원근의 구별은 쉽습니다.

소원근/작은원근은 어깨의 외회전(lateral rotation)에서 수축을 하고

대원근/큰원근은 어깨의 내회전(medial rotation)시 수축을 합니다.

그래서 환자의 엎드린자세에서(prone) 무릎으로 외회전과 내회전에 저항을 가하여 구분을 하면 됩니다.

· 광배근(latissimus dorsi)과 대원근/큰원근은 서로 인접해있으면서 몇몇 겹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구별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광배근과 대원근/큰원근의 부착점은 같지만 광배근은 조금 더 앞쪽(anteriorly)으로 위팔뼈에 부착하고 대원근/큰원근은 광배근보다 좀 더 멀리(distal) 위팔뼈에 부착합니다.

앉은자세에서의 대원근/큰원근 촉진

앉은 자세에서의 대원근/큰원근 촉진

· 앉은자세에서의 대원근/큰원근 촉진은 소원근/작은원근과 매우 유사합니다.

· 환자는 앉은자세에서 팔꿈치를 90도 굽힘(flexion)시킨 자세에서 어깨의 내회전(medial rotation)을 시킵니다.

· 치료사는 환자의 내회전 자세에 저항을 가하면서 기시점에서 근육의 수축을 느낍니다.

· 매우 중요한 점은 환자는 팔의 수평면에서의 굽힘(horizontal flexion)이 아닌 어깨에서의 내회전을 확실하게 하도록 치료사는 지시해야합니다.

· 소원근/작은원근과 매우 유사하기에 차이를 비교하고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https://blog.naver.com/chongjw94/222264547101


트리거포인트 / Trigger point

<대원근/큰원근 트리거포인트>

1. 급성 혹은 만성적 과사용 (ex. 강하게 뒤로 팔을 젖히거나, 노젓기 등)

<트리거포인트로 인한 유발>

1. 대원근/큰원근 수축 혹은 스트레칭시 깊은 통증 유발

2. 어깨의 벌림(abduction)의 제한

3. 날개뼈의 외측 경사(lateral tilt) or Winging


스트레칭 / Stretching

<대원근/큰원근 스트레칭>

· 대원근/큰원근 스트레칭시 환자는 팔을 몸통 앞으로 굽힘(flexion), 모음(adduction), 외회전(lateral rotation)시킵니다.

· 이는 광배근(latissimus dorsi)의 스트레칭도 시킵니다


이렇게 또 대원근/큰원근에 대해 열어봤는데 어떠셨나요??

유익한 하루였길 바라면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ㅎㅎㅎ

열공하세요!

사진과 내용 참고자료

: muscle and bone palpation

with trigger points, referral patterns and stretching

Joseph. E. Muscolino